전체보기(50)
-
양평 단독주택_1
양평주택 최종안 모형
2020.12.17 -
중동 1150.1 근린생활시설
위치 경기도 부천시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351.20㎡ 건축면적 300.72㎡ 연면적 870.64㎡ 건폐율 85.63% 용적률 186.06% 규모 지하1층, 지상3층 외부마감 마천석 버너구이, 노출콘크리트 내부마감 노출콘크리트 구조설계 SDM PARTNETS 기계설계 (주)대유엠이씨 전기설계 (주)다우티이씨 설계기간 2018. 06. ~ 2018. 12.
2020.12.17 -
양명초 체육관+급식시설 설계공모
설계공모 당선 교육청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1층에 식당을 두고 2층이 다목적강당이 되는 것이었지만, 어떻게든 1층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것에 집중했다.
2020.10.18 -
공릉초 다목적강당
설계공모 2등안 + BHJ Architects 알루미늄 펀칭패널의 모듈화, 오픈형 연결브릿지와 그에 연속되는 회랑식 복도로 인한 평면의 최적화, 덕트형 공조설비 등에 대한 탐구와 시도
2020.10.18 -
천안 OO 사옥
평범한 박스 형태 말고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 진입부의 벽체를 안으로 접고 각 층마다 작은 발코니를 만드는 한편, 구조를 일방향 보로 설계하고 천장마감을 따로 하지 않는 것으로 직원들에게 조금이나마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위치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업성동 용도 제2종근린생활시설 (제조업소) 대지면적 1,348.00㎡ 건축면적 266.25㎡ 연면적 954.40㎡ 건폐율 19.75% 용적률 70.80% 규모 지상4층 외부마감 지정벽돌, 노출콘크리트 내부마감 노출콘크리트 구조설계 동아구조 기계설계 (주)대유엠이씨 전기설계 (주)다우티이씨 시공 (주)성우종합건설 설계기간 2016. 10. ~ 2017. 01. 시공기간 2017. 04. ~ 2019. 12.
2020.10.18 -
평거동 931 근린생활시설
건물은 가로와 4개의 접속점을 갖는다. 건물의 주출입구, 1층 임대 공간으로의 진입, 지하주차장, 그리고 외부계단을 통한 2층으로의 진입. 그런 건물의 프로그램은 송판노출콘크리트의 육면체에서 덩어리를 덜어내는 방식으로 표현되고, 그 이외의 요소는 최대한 생략하여 가능한 명쾌한 디자인이 되었으면 했다. 또한 전면 양측 코너의 기둥을 없애버림으로써 단정한 박스형태의 기준층과 대비하여 저층부는 가로를 향한 개방감과 더불어 캔틸레버가 주는 구조적 긴장감을 갖는다.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한 1층의 내부공간은 기둥과 보, 슬라브 각각의 부재가 분리되지 않고 커다란 하나의 덩어리에서부터 파내어 공간을 만들어낸 듯이 보인는 것을 의도했다. 이런 공간을 위해 기둥은 철근콘크리트구조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으로 계획하고..
2020.10.18 -
대치동 샵스테이 (#STAY) 인테리어
봄 건축연구소의 첫 프로젝트. 발크로멧과 원목마루의 조합으로 거실과 같은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설계_시공 건축사사무소 봄 건축연구소 마감 원목마루, 발크로멧 설계기간 2015. 04 ~ 2015. 05 시공기간 2015. 05 ~ 2015. 06
2020.10.18 -
테너지 동탄연구소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자동차엔진연구소로서 일반적인 산업 외장재인 판넬에서 벗어나 새로운 입면을 제시했던 프로젝트. 위치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지역 준공업지역,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용도 교육연구시설(연구소) 대지면적 7,507㎡ 건축면적 1,397.08㎡ 연면적 3,060.21㎡ 건폐율 18.61% 용적률 37.76% 규모 지하1층/지상3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 철골 시공 씨엘건설(주) 사진 박영채
2020.10.18 -
분당 주택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대문에서 시작되어 현관까지 이르는 진입부의 시퀀스, 지하주차장에 떨어지는 빛의 질감이 이 집만의 숨겨진 매력.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용도 단독주택 건축면적 257.49㎡ 연면적 326.47㎡ 규모 지하1층, 지상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송판무늬 노출콘크리트, 이페목 사이딩 시공 포스톤건설(주) 설계기간 2012. 05 ~ 2013. 02 공사기간 2013. 05 ~ 2014. 03 사진 박영채
2020.10.18 -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교육관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대한민국 사적 제424호인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강화읍성당)의 부속시설이며 문화자원보존지구에 속해 있어 무엇보다 문화재심의를 받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었던 프로젝트. 위치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용도 교육연구시설 건축면적 391.28㎡ 연면적 937.42㎡ 규모 지하1층, 지상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압출성형시멘트패널, 폴리카보네이트 시공 (주)서희건설 설계기간 2012. 04 ~ 2012. 12 공사기간 2013. 06 ~ 2014. 03 사진 박영채
2020.10.18 -
아테나 빌딩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도봉역 근처 지상철이 지나가는 철길 옆 작은 땅. 1층 필로티 주차장 위에 건폐율을 최대한 활용한 2층의 슬라브가 있고 유리박스로 이루어진 3층 위에 일조사선 제한을 받는 2개층의 콘크리트 덩어리가 중력을 거스르는 듯 떠 있다. 작은 건물이지만 다양한 시도를 하였는데, 심플한 노출콘크리트 천장을 위해 중공슬라브 구조 방식을 채택, 상부의 콘크리트 덩어리는 기둥에서 4미터 가량을 캔틸레버로 뽑고, 외벽에서 더 돌출된 발코니까지는 기둥 없이 6미터까지 나오는 실험을 하였다. (특수구조건축물 관련 규정이 없던 행복한(?) 시절이었다.) 위치 서울특별시 도봉구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417㎡ 건축면적 249.30㎡ 연면적 1,062.17㎡ 건폐율 59.78% 용..
2020.10.18 -
연세대학교 스포츠센터
지명현상설계 당선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지명현상설계에서 1등으로 당선되어 실시설계와 감리까지 진행했던 프로젝트. 기존 검도장이 있던 작은동산을 철거하고 농구장, 휘트니스 센터, 교수연구실과 크고 작은 강의실이 복합적으로 들어가는 일종의 Sports Complex다. 계획상 가장 큰 도전은 남북으로 3미터 이상, 동서간에는 13미터 이상 지형차가 나는 대지 안에서 기존의 캠퍼스의 동선을 해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일이었다.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용도 교육연구시설 건축면적 2,330.24㎡ 연면적 6,469.37㎡ 규모 지하1층, 지상3층 구조 철골 +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압출성형시멘트패널, 폴리카보네이트 시공 (주)서희건설 설계기간 2009. 09 ~ 20..
2020.10.18 -
연세대학교 송도국제캠퍼스 제2강의동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연세대학교 송도국제캠퍼스를 조성하며 외부건축가 초청의 형식으로 참가하여, 엄앤드이(AUM&LEE Architects Associates)와 협력으로 진행했다. 위치 인천광역시 연수구 용도 교육연구시설 건축면적 3,567.24㎡ 연면적 14,143.12㎡ 규모 지하1층, 지상6층 외부마감 화강석 고운다듬 설계기간 2008. 01 ~ 2010. 01 시공 대우건설 사진 박영채
2020.10.18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CCRC
2009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수상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청강대 캠퍼스에 공작소'숨' 동과 더불어 설계와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었던 프로젝트. 처음으로 3000평이 넘는 규모와 11미터가 넘는 대지의 고저차를 다루는 경험을 했다. 애니메이션스쿨의 실습실과 강의실, 학교기업을 운영하는 청강창조센터(CCRC), 남학생 전용 기숙사 등 복잡한 프로그램이 캠퍼스의 경사를 따라 지하2층부터 지상2층까지 각각의 출입동선을 가지며 펼쳐진다. 위치 경기도 이천시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용도 교육연구시설 대지면적 144,499㎡ 건축면적 12,331.32㎡ 연면적 11,277.50㎡ 규모 지하2층, 지상5층 외부마감 노출콘크리트, 징크 거멀접기 시공 강산건설(주) 설계기간 2007. 05 ~ 2007..
2020.10.18 -
잠실 청호빌딩 리모델링
2008 서울시 건축상 리모델링부문 본상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 잠실3,4단지가 재개발되면서 더불어 기존 상권의 낡은 건물들도 변신을 하게 된다. 88년에 지어진 타일마감의 건물로 네거리를 면한 반원의 곡면과 소박한 타일의 디테일이 꽤나 정감이 갔지만 낮은 층고, 노후화된 설비, 사용이 불편한 평면과 층수를 더 늘여 임대공간을 더 확보해야 하는 요구로 인해 전면적인 리모델링을 해야 했다. 안전진단을 통해 기존 구조체를 보강하고 뼈대만 제외하고 전체를 리모델링하고 2개층을 증축한 프로젝트다. 위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833㎡ 건축면적 415.53㎡ 연면적 2,441.90㎡ 건폐율 49.88% 용적률 236.00% 규모 지하1층, 지상6층 외부마감 알루..
2020.09.01 -
아임삭 본사
2008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 2009-2010 ARCASIA Award 금상 아무것도 없는 맨 땅이었다. 붉은 흙과 하늘이 만나고 있었다. 바람은 땅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잡초들이 뿜어내는 초여름의 풀냄새를 실어오고 있었다. 그 땅을 파서 우리는 기초를 심고 다시 흙을 메웠다. 그 위로 지름 육십센티미터짜리 기둥들이 솟아나고 뽀얀 콘크리트의 벽이 종이 위에 그려진 좌표대로 허공 속에 드러났다. 이 모든 과정을 지켜보면서도 나는 어떻게 종이 위의 선들이 차갑고도 촉촉한 콘크리트가 되었는지 아직 이해하지 못한다. 이해할 수 없어서 그냥 감동하기로 했다. 씨지에스 건축사사무소 재직 시 참여했던 작업으로 처음으로 계획, 실시, 감리 업무 등 건축의 전 과정 모두를 경험하면서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고 2008..
2020.09.01 -
양평주택_월간 건축문화 ARCHITECTURE & CULTURE에 소개
anc.masilwide.com/936?category=722812 A DEEP LANDSCAPE Seojong-myeon stretches eastward along the river, even the mountain is low, the valley is quite deep. The site chosen by the client was at the end of the road and the beginning of the mountain. It.. anc.masilwide.com
2020.03.26 -
양평주택_DESIGNWHOS에 게재
http://www.designwhos.com/bbs/board.php?bo_table=architecture&wr_id=899&sca=RESIDENTIAL 양평주택 Design : Architecture Lab BOUMDesigner : YouHong KimLocation : Seojong-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Site area : 1,032.0㎡Building area : 192.94㎡ Total Floor area : 198.73㎡ Structure : RCFinish Material :Spanish BrickProject Year : 2019Photo www.designwhos.com
2020.03.26 -
평거동 931 빌딩_DESIGNWHOS 게재
http://www.designwhos.com/bbs/board.php?bo_table=architecture&wr_id=720&sca=COMMERCIAL Pyeonggeo-dong 931 Design: Architecture Lab BoumArchitect: YouHong KimLocation: Jinju, Gyeongsangnam-do,Site Area: 500.8㎡Building Area: 344.05㎡Total Floor Area: 1,910.40㎡Structure: R.CFinish Material: Exposed Concrete, Granite StoneProject Year:2017Photographer: Ky www.designwhos.com
2020.03.26 -
봄 건축연구소는 (클릭)
건축 자체보다는 그 사이의 공간들, 사이의 길들, 아무것도 아닌 회벽 위로 빛이 그림자를 만드는 순간, 처마 아래, 나무 한 그루, 선선한 바람, 작은 공터, 그 너머의 이층집, 이층집 위로 파란 하늘. 개념으로 잡히지 않는, 추상 아닌 구체적인 돌과 나무들, 그런 공간들과 길 위에서의 끝없는 이야기, 바다를 향하는 언덕길, 그 길은 도면위에 그은 선 하나. 그 응축된 상징성과 무한으로 열린 가능성. 때로 한 장의 사진이 어떤 기나긴 말보다 한권의 책보다 더 큰 자극을 주고 근원으로 곧장 우리를 데려간다. 건축도 그럴 거라는 믿음. 클라이언트의 구체성에서 출발해 건축이라는 놀이의 체계성과 추상성으로, 그리고 다시 개별성과 구체성으로. 언명이 아닌 몸으로 밀고 나가며. 김유홍_대표, 건축사 연세대학교 건축..
2020.03.26